티스토리 뷰

 

일을 해도 통장 속 잔고는 맨날 없고 돈이 모이지 않아 힘들어하는 청년들을 위해 청년내일저축계좌 사업을 보건복지부에서 실행하고 있습니다. 최대 1080만 원을 지원받을 수 있는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조건과 금액 그리고 해당 대상자를 알아보고자 합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내일저축 계좌에 대해서 알아보아요

 

청년내일저축계좌란?

 

저소득 청년에게 일정 금액을 지원함으로써 일하는 청년이 근로빈곤층이 되지 않도록 방지하고 청년들이 일을 그만두지 않고 사회에 안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정부 사업입니다. 3년간 계좌를 유지하여야 하며 소득에 따라 최대 1,080만 원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매월 10만 원씩 3년과 1,080만 원의 지원을 받는다면 총 1,440만 원이라는 금액을 모을 수 있으며 저축 금액을 늘린다면 더 많은 금액을 저축할 수 있습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 대상자

 

지원 대상이 되기 위해서는 나이, 소득 기준, 가구소득, 가구재산 4가지를 모두 충족한 청년이어야 합니다. 기준 중위 소득별 신청 대상자가 다르니 자신의 기준중위소득을 확인하여 어디에 지원이 가능한지 살펴볼 수 있습니다. 소득에 따라 지원되는 금액이 달라지므로 확인이 필요합니다.

 

2023기준중위소득
2023년 기준중위 소득

가입 나이

  •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는 신청 당시 만 15세 이상 ~ 만 39세까지 가능
  • 기준 중위소득 50% 초과 ~ 100% 이하는 신청 시 만 19세 이상 ~ 만 34세까지 가능

 

소득 기준

  •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는 일 하고 있는 청년으로 근로 또는 사업 소득이 10만 원 이상이면 가능
  • 기준 중위소득 50% 초과 ~ 100% 이하는 일 하는 청년으로 월 근로 또는 사업 소득이 월 50  ~ 220만 원 이하인 청년이 가능

 

-소득이 발생되는 사실을 재직증명서, 사업자등록, 각종 증명서류 확인을 통해 실제 근무를 하고 있는지 확인합니다. 따라서 일을 하는 청년에게만 지원되는 내용이므로 근로를 하고 있어야 합니다. 

 

가구 소득

  • 소득 인정액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  1인 가구의 경우 해당 조건 제외이지만 만 30세 미만 1인 가구 청년의 경우 부모님의 소득과 재산 확인 필요

 

가구 재산

  • 대도시 3.5억 원, 중소도시 2억 원, 농어촌 1.7억 원 이하

 

청년내일저축계좌 조건

 

계좌를 만들고 일정 조건을 지켜야 정부 지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어렵지는 않고 귀찮을 뿐입니다. 그러나 돈을 준다고 하는데 이 정도 귀찮음은 감수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다만 꼭 지켜야 지원금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1. 매월 10만 원 이상 저축
  2. 3년간 통장 유지
  3. 가입자 근로활동 지속
  4. 교육 이수 10시간 → 자산형성포털 및 자활정보시스템 교육
  5. 자금사용계획서 제출

 

조건을 지키지 않았을 경우 환수 해지

  • 통장 가입기간에 근로활동을 유지하지 않는다면 환수 해지
  • 본인 저축금액 적립중지 신청 없이 12월 누적 미납 시 해지
  • 교육 이수 기준 미달
  • 사망이나 압류, 가압류, 본인의 요청 시
  • 자금사용계획서 미 제출 시 환수해지

 

지원 금액

 

청년내일저축계좌는 본인 저축금액 + 근로소득장려금(정부지원금)으로 되어 있는 저축형 복지 지원입니다.

 

기준중위소득 50% 이하인 사람은 매월 30만 원을 지원해 주고 기준중위소득 50% 초과 ~ 100% 이하인 사람은 10만 원을 매월 매칭하여 지원해 주는 것입니다. 본인이 저축할 수 있는 금액은 매월 10~50만 원 사이로 원하는 만큼 저축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럼 하나씩 따져보도록 하겠습니다.

 

-기준중위소득 50% 이하인 사람이 매월 10만 원씩 3년간 가입을 유지하였을 때 본인저축 금액 360만 원 + 정부지원금 1,080만 원으로 총 1,440만 원이라는 금액이 저축됩니다. 본인의 저축금액에 따라 더 저축을 많이 할 수 있겠네요.

 

-기준 중위 소득 50% 초과 ~ 100% 이하의 경우 매월 10만 원씩 3년간 유지한다면 본인 저축 360만 원 + 정부 지원금 360만 원 총 720만 원이 됩니다.

 

저축할 수 있는 금액

매월 10만 원 이상 적금을 하여야 하며 본인 의지에 따라 최대 50만 원까지 자유적립식 저축이 가능합니다. 다만 10만 원은 꼭 필수로 납부해야 하는 점을 잊으시면 안 됩니다.

 

가입 중간에 만기 이전 적금 1회에 한하여 중도 인출이 가능하니 무작정 해지보다는 중도인출을 고려해 보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